▲ 청년희망재단 홈페이지 캡쳐.

[스페셜경제=이현정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청년 실업난 해소를 목적으로 탄생시킨 청년희망재단이 지난해 해외 일자리 59개를 창출하는 데 무려 23억4000만원을 쏟아 부은 것으로 드러났다.


해외 일자리 1개당 사실상 4000만원씩을 소비한 셈이다. 이마저도 절반에 달하는 26명은 계약직이었다. 재단은 결국 추진 1년 만에 해외 일자리 사업을 중지시켰다.


국민들과 기업들은 이런 상황도 모른 채 기부금 1461억원을 냈고 청년희망재단은 전시성 행정에 주먹구구식 운영으로 기금 축내기만 하고 있다.


재단은 지난해 199억원의 예산 가운데 80억원을 집행했다고 밝혔다. 집행한 80억원 중 운영비 5억원을 뺀 75억원은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쓰여졌다. 또한 작년 재단 사업으로 일자리를 구한 청년은 총 1999명이다.


숫자상으로 보면 꽤 그럴싸한 성과를 냈다. 그러나 조목조목 뜯어보면 문제점이 속속 드러난다. 우선 재단은 해외 인재 양성을 위해 집행예산 80억원의 30%에 달하는 23억4000만원을 썼다. 하지만 23억 가량의 투자를 통해 해외 취업에 성공한 청년은 59명에 지나지 않았다.


반면 기업·청년 일자리 매칭 사업은 30배에 달하는 성공 사례를 만들어내 지난해 1863명의 취업자를 배출한 바 있다. 재단은 해당 사업엔 해외사업보다 4억원 가량 적은 19억6000만원의 돈을 사용했다.


남은 37억원은 면접비 지원, 정보기술(IT) 및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 등에 쓰였다고 밝혔다.


해외 인재 양성 사업의 구체적 내용을 들여다보자. 해외사업에서 가장 많은 예산에 해당하는 17억2600만원이 투입된 청년글로벌보부상 프로그램을 통해 일자리가 매칭된 청년은 불과 41명이었다.


그마저도 26명은 계약직이었다. 실제로 이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정규직 일자리를 얻은 청년은 15명이 전부인 셈이다. 다른 프로그램으로 정규직이 된 18명을 합쳐도 해외 정규직은 33명에 그쳤다.


재단 측은 현재 해외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있는 48명도 취업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지만 이들이 전원 성공하더라도 해외 취업자는 총 107명이 전부다.


또한 앞서 프로그램 이수자들은 취업할 가능성이 왜 높지 않았는지 궁금증을 낳는 대목이다.


금액 대비 성과가 낮은 까닭은 해외사업 자체가 재단이 지원한 돈으로 취업자를 양산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청년글로벌보부상 사업에 참여하는 국내 기업이 해외지사에서 근로할 청년 1명을 채용할 경우 재단은 비행기표와 체재비 등 인건비의 80%를 지원한다. 막대한 돈을 쏟아부어도 혜택 받는 인원이 수십명에 불과한 이유다.


결국 재단은 해외 일자리 양성을 목표로 추진한 4개 사업 가운데 청년글로벌보부상을 비롯한 3개 사업을 중단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