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유민주 기자]시중은행이 아닌,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비은행금융기관을 통해 개인, 기업 등이 빌린 빚이 증가하고 있다.


비은행금융기관은 상호금융사(농·수·축협),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자산운용사, 생명보험사 등이 포함된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관련 대출이 사상 최대로 늘어나면서 730조원에 이르기 직전이다.


전문가들은 금융당국과 정부의 대책을 요구해왔지만, 알맞은 대응책이나, 실효성 있는 방침이 나오지 않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말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금리상승기 위험관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2금융권은 은행권보다 대출금리가 높기 때문.


비은행 여신 '불안정'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1월말 현재 비은행금융기관 여신잔액은 729조817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0월보다 16조8710억원 2.4% 늘어난 수준이다.


특히 11월중 증가액은 2009년 1월(15조6888억원) 이후 7년 11개월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대출 중 비은행권 가계대출 부분은 시장금리 상승기에 위험부담이 높아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문제는 앞으로 대출금리 오름세가 가팔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이 올해 가계부채 관리에 고삐를 죄면서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높이는 식으로 대출 총량관리에 돌입했다.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트럼프 행정부 출범 등으로 시중금리의 상승이 불가피하다.


게다가 당국의 대책은 ‘풍선효과’를 불러 일으킨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가계대출, 해마다 증가


그러나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2013∼2015년 3년간 연평균 8.2% 증가세를 나타내면서도 지난해 증가율은 13%대로 대폭 확대됐다.


이에 금융권 관계자는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가 도래하는 상황에서 저소득에다 원리금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여러 곳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서민계층의 가계대출부터 부실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일자리 대책이나 서민금융제도 강화, 최저 소득보장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비은행권 대출금리는 은행권보다 높으며, 저소득(소득 하위 30%)·저신용자(신용등급 7~1등급)·다중채무자(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빚을 진 경우)인 취약계층의 대출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