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환경, 투자/기술 이니셔티브… 중국의 3대 대응전략 주목해야

▲ 코트라 홈페이지.

[스페셜경제=이현정 기자]정부의 리더십과 기업의 창의성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를 앞서가는 중국의 대응전략을 과감히 본받고 빅데이터 등 유망분야에서 이들과 적극 협력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KOTRA는 17일 발간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중국의 ICT 융합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올해 CES를 휩쓴 중국 ICT 저력의 원천을 분석하고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딜로이트는 2020년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에서 중국이 독일을 제치고 미국 다음으로 올라설 것으로 내다봤다. 이렇듯 전 세계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해 소매를 걷어 붙인 현 시점에서 중국의 맹공은 단연 돋보인다.


보고서는 중국 ICT 신산업의 경쟁력이 급성장한 요인을 ① 정책 및 제도 ② 비즈니스 환경 ③ 투자/기술 이니셔티브라는 세 가지 앵글에서 찾았다. 먼저 정책 및 제도 측면에서 중국 정부는 ICT 글로벌 강국이라는 비전 하에 제도, 투자, 환경 등 전 방위에 걸쳐 체계적이고 강력한 지원체계를 갖췄다. 중국제조 2025, 인터넷플러스 등 주요 정책 외에도 산업별 및 지방정부별 세부정책을 수립했다.


또한 융합을 독려하는 비즈니스 생태계를 조성해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이 국내외 대표적인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 선점을 위한 과감한 투자와 합작 등을 통해 글로벌 수준으로 자국 기업의 기술력을 견인한 투자/기술 이니셔티브를 구사했다.


그렇다면 중국의 비상이 우리에게 던지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첫째, ICT 육성을 국가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접근해 경제 전체의 발전에 부합하는 일관되고 체계적인 정책과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이러한 바탕 위에 이종 기술 및 산업간 융합을 실현하기 위해 국내외 주체간 협업 인프라를 구축하고 기술협력과 투자가 용이한 개방적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ICT를 제조업 뿐만 아니라 의료, 에너지 등 유망 서비스업과 융합할 때 4차 산업혁명의 진정한 열매를 맛볼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기술 이니셔티브를 본격화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합작, M&A, 중국의 일대일로 등 주요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기술 및 자본 도입, 표준 협력 파트너를 다각화하는 것이 실천과제이다.


첨단 ICT 분야에서 양국간 실질적인 산업 협력이 이루어질 가능성도 매우 높다. 작년 12월 미래부․KOTRA 주최 ICT 행사에 참여한 400여개나 되는 중국 기업은 전통적인 분야에서는 한국의 기술수준이 높지만 빅데이터와 같은 신산업 분야는 대등하거나 오히려 자국의 수준이 높다고 답했다. 하지만 여전히 빅데이터 처리 솔루션, 시스템 통합, 고품질 하드웨어와 같이 아이디어, 경험, 품질이 중요한 분야에서 협력 수요가 많았다.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는 업체 정보와 플랫폼을 제공하는 등 중국 ICT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요인을 더 많이 발굴하고 실현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고서는 중국 ICT 신산업 분야의 시장진출 전략을 제시했다. △ 개방적인 중국 빅데이터 생태계 동참 △ 글로벌 기업 실적이 부진한 클라우드 컴퓨팅 적극 공략 △ 한․중 FTA를 산업교류 전환점으로 활용 △ 시장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 △ 공동 기술개발 및 표준 구축 △ AIIB 등 프로젝트 연계 진출기회 발굴 △ 효과적 지원체계 구축 등이다.


윤원석 KOTRA 정보통상지원본부장은 “융합이 키워드인 4차 산업혁명시대에 독자적인 기술 개발과 시장 진출만으로는 성공하기 어렵다”면서 “융합을 위한 제도개선 등 중국에서 배울 것은 배우고, 양국 기업 간의 협력 수요가 비즈니스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기업과 정부 그리고 KOTRA와 같은 지원기관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