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유민주 기자]최근 국내 은행들이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의 차이를 확대하면서 이자 수익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이와 같은 예대마진을 위해 소비자에게만 부담을 주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금융당국은 최근에서야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를 점검하겠다고 나섰다. 하지만 이는 늦장 대응이라는 지적을 면치 못하고 있다.


예대마진, 노림수?


30일 금융권 일각에서는 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올리면서 동시에 예금 금리를 소폭 올려 소비자를 위한 금융상품이 사라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지난 29일 발표한 '2016년 10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10월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3.08%로 나타났다. 이는 한달전 보다 0.05% 오른 수준이다.


게다가 한국 경제의뇌관으로 꼽히는 ‘가계부채’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2.89%로 형성돼 있다. 이 또한 0.09%포인트 상승한 것.


이와 관련, 앞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 6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25%로 인하한 뒤 7월에는 역대 최저 수준인 2.66%로 하락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 3달 만에 0.23%포인트 오르면서 현재는 3%대에 달한다.


예금 금리는?


하지만 같은 기간 저축성 수신(예금)금리는 소폭 상승했다. 업계에 따르면 10월 예금 금리는 1.41%로 나타났다.


이는 3개월 전보다 0.1%포인트 오르는데 불과했다.


이런 가운데 은행 상품에 대핸 비판 여론이 제기됐다. 이에 금융감독원도 시중은행들의 금리 산정체계 점검에 착수했다.


금감원은 대출금리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면서, 뒤늦게 금리 산출 체계를 전반적으로 조사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금융소비자연맹 강형구 금융국장은 "3분기 깜짝 실적을 낸 은행들이 예금금리는 찔끔 올리고 대출금리는 대폭 올리는 식으로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금융당국의 늦장 대응을 비판했다.


그는 "가계부채가 1300조원을 넘은 상황이어서 대출 금리를 0.1%만 올려도 소비자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가계부채 증가는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어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금융당국은 비판 여론이 커지자 뒤늦게 규제에 나서는 전형적인 뒷북 행정을 보이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한편, 신한·KB국민·KEB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은행 등 주요은행 6곳이 지난달 취급한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의 평균금리가 모두 3%대를 나타냈다. 다만 여기에 하나은행과 기업은행은 제외됐다.


지난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다음달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이 일부 통장의 예금금리를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국민은행은 통장의 금리를 낮출 것이라고 전했다. 국민은행은 “KB★스토리(Story)통장, KB연금우대통장(우대이율 2.00% → 1.00%), KB사랑나눔통장(1.00%→0.50%) 등 3가지 통장의 금리를 다음달 10일 내린다”고 전했다.


하지만 국민은행은 대출 금리가 높아졌다.


은행에 따르면 '포유(For You) 장기대출'(5년 고정혼합형) 금리는 8월말 2.74~4.04%에서 22일 기준 3.39~4.69%로 0.65%포인트 올랐다.


또한 여기에 붙는 가산금리는 2.63%에서 2.69%로 0.06%포인트 높아졌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