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적 환경-소비자 의식 반영

[스페셜경제=최은경 기자]우리 고유의 명절 추석이 한 주 앞으로 다가오고 있다. 경기 불황의 여파로 인해 주춤했던 대형마트, 재래시장, 백화점 등 유통업계는 명절 선물을 구매하려는 소비자로 때 아닌 명절 특수를 누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매년 추석마다 주고받은 선물을 살펴보면 시대상을 반영하며 변화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또 우리 경제 발전과 국민의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 수 있다는 것.


올해 추석 선물의 트렌드는 어떨까? 1950년부터 현재까지 추석 명절의 선물 역사를 짚어보고자 한다.


달걀·백설탕으로 정 나누는 시절


웰빙-힐링 트렌드 등 상품 인기


선물 개념없던 시절, 음식으로 나눔 함께


한국전쟁 직후인 1950년대는 ‘상품’을 선물한다는 개념조차 없었던 시절이기에 선물이란 말 자체가 사치였다. 이에 쌀이나 달걀 등 농산물을 주고받으며 정을 나눴다.


그러다가 60년대가 들어서면서부터 ‘명절 선물’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먹거리와 생필품이 부족했던 시절인 만큼 밀가루, 설탕, 비누, 양말 등 상품화로 볼 수 있는 선물들이 인기를 끌었다. 또 백화점과 업체들은 이때부터 선물세트 카달로그를 만들어 판촉활동을 하기도 했다.


70년대는 산업화가 본격화 되면서 명절 선물도 치약이나 커피, 과자 종합세트가 인기를 끌었다. 여성들은 스타킹, 속옷, 화장품을 선호했다. 또 생활에 여유가 생기면서 선물의 범위는 생필품에서 술이나 커피 등 기호품으로 확대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과자가 든 과자종합선물세트는 어린이들에게 최고의 선물이었고 텔레비전, 전기밥솥, 카세트 등 가전제품도 특별한 선물로 꼽혔다.


경제 성장의 정점을 찍은 80년대에는 선물세트의 종류가 다양해 진 것을 볼 수 있는데 그중에서 과일이나 정육세트가 등장했다. 커피·햄·참치·참기름 등 식품 선물세트가 주를 이뤘고, 넥타이·양말·벨트·지갑 같은 패션잡화도 인기를 끌었다. 또 이 시대에는 배달서비스가 시작되면서부터 한우갈비세트 등 고급 선물세트가 등장해 선물시장에 고급화 바람을 일으켰다. 하지만 이로 인해 선물의 ‘과대 포장’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변화의 시작?


90년대 이후엔 건강을 챙기는 사람들이 늘면서 지역 특산품이 인기가 많았다. 인삼, 꿀, 전복 등 건강을 강조한 특산품들이 관심을 모았다.


특히 1994년엔 상품권 발행이 허용돼 선물 문화에 새로운 바람이 불었다. 1975년 사재기와 과소비로 인해 폐지됐던 상품권이 다시 부활하면서 백화점 상품권, 구두 상품권 등 다양한 상품권이 등장한 것도 볼 수 있다.


건강을 넘어 웰빙과 힐링을 추구하는 2000년대.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호응을 얻은 상품은 유기농 식품을 비롯해 와인, 올리브유, 홍삼, 상황버섯 등 각종 건강식품, 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의 영향으로 망고, 키위, 속류 등 수입 농산물은 물론 대게 킹크랩, 연어 등 수입 해산물 선물세트도 나왔다.


2010년대에 들어서는 웰빙과 힐링 트렌드에 맞춘 상품들이 지속적으로 인기를 얻는 가운데, 젊은 층과 1인 가구의 기호와 생활을 반영한 상품들이 다채롭게 나오고 있다. 고급 디저트가 명절 선물로 각광받기도 하면서, 유명셰프들이 직접 구성한 선물세트도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아웃도어 상품도 주요 선물 품목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해 기프트 쿠폰을 보내는 문화도 생겨났다.


한편 업계 관계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추선 선물이 다양하게 변화해 온 것을 볼 수 있다. 각 업체들은 추석을 앞두고 다양한 선물용 상품을 내놔 소비자 시선을 끌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해 추석에는 합리적인 가격에 다양한 품목들이 알차게 들어있는 실속형 선물세트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