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영식 기자]정부가 최근 법정관리행에 들어간 한진해운의 핵심자산을 현대상선에 인수하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이에 대한 실효성을 두고 업계에서는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관련업계와 전문가들은 ‘크지 않다’거나 ‘당장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등의 비교적 부정적인 반응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인수자금이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이미 올해 상반기 막대한 영업손실을 기록한 현대상선에 대우조선해양 사례처럼 마치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처방이 재현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빈 껍데기’ 한진해운 핵심자산 “실효성 미지수”


6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현대상선이 한진해운의 우량선박과 해외 터미널 지분, 영업인력 등 알짜자산을 인수한다 해도 당장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됐다.


이 같은 주장은 한진해운이 글로벌 해운시장에서 압도적으로 우월한 선박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할 수 없을뿐 아니라 한진해운의 인력들이 현대상선으로 이동한다고 해서 빠른 시일 내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도 어렵다는 게 이유다.


최근 글로벌 해운업계는 불황 탓에 ‘규모의 경제’를 지향하는 추세다. 크게 떨어진 운임료가 원인 중 하나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세계 컨테이너업계는 1만8000TEU급의 초대형 선박을 늘려가는 추세인 반면, 한진해운 등 국내 해운사는 1만TEU 내외의 중급 컨테이너선 위주로 보유 중인 사실에 이런 국제시장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한진해운의 핵심인력이 모두 현대상선으로 이직해갈 것이란 보장도 없다.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신청 이전부터 물밑으로 중견 해운사 및 포워딩업체 등이 일부 한진해운 사원들을 빼낼 계획을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업계는 이들이 현대상선보다는 글로벌 해운사로 이직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현대상선으로 이직한다 해도 회사문화 정착 등 적응의 문제도 남아있다.


게다가 현대상선이 한진해운의 우량선박을 인수해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할 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글로벌 해운시장에선 이미 선복의 과잉공급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에서 현대상선이 한진해운 선박에 해당 선복을 채워줄 화물주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자칫 고정비만 떼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기사회생’ 현대상선, 내년 막대한 영업손실 예상…“대안 될 수 있나?”


이런 가운데, 현대상선이 최근 기사회생하면서 경영 정상화 작업이 초기단계인 점과 대규모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는 점 등으로 현 상황에서 정부가 한진해운 사태를 현대상선에 부담을 크게 안기는 것에 우려를 표하는 의견도 많다.


결국 한진해운의 핵심자산 인수 등에 향후 채권단의 막대한 추가자금 지원이 뒤따를 것으로 보여 앞서 대우조선해양에 수조원대 국민혈세가 투입되고도 경영 정상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력(前歷)이 반복되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현대상선 2016 회계연도 상반기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상선의 올해 1월~6월 당기순손실은 903억원(개별 기준)으로, 작년 동기간 1757억원 손실 대비 절반가량 줄었다. 여기에는 현대증권 등 자산매각의 차익이 5천억원 가까이 발생해 영업적자를 메운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영업적자는 4297억원을 기록, 지난해 손실 833억원 대비 5배 이상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현대상선의 이 같은 막대한 영업손실에도 글로벌 해운업황이 좀처럼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아 내년 역시 실적 호전을 기대키 어렵다는 점이다.


현재 현대상선이 보유한 자금 역시 충분치 않아 대규모 영업적자가 지속될 경우 결국 채권단에 도움을 요청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현대상선의 자체 신용 문제로 외부의 도움을 받기도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와 관련, 업계 일각에서는 현대상선이 한진해운 법정관리에 따른 부담을 떠안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명확히 하고, 법원의 회생가능 여부 판단 이후 정부의 이 같은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