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얀마 총선에서 아웅산 수치 여사가 이끄는 야당인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의 승리가 유리하다는 전망 가운데 한국 기업들은 이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을지 의견이 나오고 있다.

[스페셜경제=김은지 기자]미얀마의 정권교체 가능성으로 인해 한국 기업들은 호재 아니면 악재 영향을 받을지 전망이 나눠지고 있다.


한쪽을 봤을 때 미얀마가 민주주의 가치를 추구하면서 자유시장 경제를 강화한다고 평가도 제기되고 있다.


다른 편에서는 미얀마의 국가제반 여건 변화가 불가피해 기업들도 따라서 혼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8일 치러진 미얀마 총선에서 아웅산 수치 여사가 이끄는 야당인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의 승리가 유리하다고 외신들은 평가하고 있다.


수십 년간 장기집권한 군부에 맞선 NLD가 여기서 승리한다면 민주주의 세력이 힘이 생긴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2011년 개혁개방 정책을 펼치면서 미얀마는 현재 200개 한국기업의 진출을 이끌어냈다. 봉제업 중심인 제조기업들은 미얀마의 미비한 인프라 개발을 돕고 미얀마에서 활성화가 되도록 길을 걸었다. 즉 미얀마는 이런 상황을 ‘한국의 1970년대 기회의 땅’ 이라고 불렀다.


미얀마 진출을 돕는 컨설팅업체인 미얀마비즈 관계자는 "미얀마에서 자리를 잡은 국내 기업은 봉제업체인 미얀스타를 비롯해 롯데리아, 유가네닭갈비 등을 꼽을 수 있다"며 "국내에서는 일반인에게 생소할 수 있지만 화장품업체인 ‘홀리카도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미얀마에 일찍 입성한 생활용품 기업 락앤락을 보면 1호점을 2012년 12월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 냈고 현재까지 4개점을 추가로 열었다. 또 오는 12월까지 매장 두 곳을 늘려 총 6곳을 확보한다는 예정이다. 이로 인해 지난해 미얀마 수출액은 2012년 대비 60% 이상 증가했고 수출 증가세도 이어지고 있다.


또한 미얀마 양곤에서 물류사업에 뛰어들고 합작법인을 설립한 기업은 CJ대한통운이다. CJ대한통운은 투자를 늘려갈 계획이고 60대의 한국산 신형 화물차량을 현지에 투입했다. 그러면서 미얀마의 주변구가로까지 물류사업을 확대하겠다는 것. 이에 양승석 CJ대한통운 부회장은 "CJ대한통운은 미얀마 최대의 종합물류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얀마에 자리 잡은 韓 기업들 걸림돌?


문제는 유통기업이 매장을 확보하거나 판로를 넓히기가 어렵고 대기업이 생산 공장을 마련하기도 또 쉽지 않다고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얀마비즈 관계자는 "삼성, LG, 현대차와 같은 대기업이 미얀마에 진출했지만 아직 확고한 생산기반을 갖추지 못했다"며 "치솟은 땅값 때문에 부지 확보가 어렵고 공장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발전소를 마련하는 것도 큰 비용부담"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미얀마는 일부 도시만 빠르게 성장했기 때문에 대표도시인 양곤의 임대료는 값이 높은 편으로 한국의 명동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로 인해 한국 기업들은 높은 임대료로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양곤조차 오토바이 통행이 제한될 만큼 전국 단위 교통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임금 수준도 높으며 1년 대비 3~4배 치솟았다. 임금으로 자금이 많이 빠져나가면 회사의 유동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여기에 미얀마가 자국산업을 철저하게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기업이 수출을 통해 미얀마의 내수시장을 공략하는 일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문제는 미얀마가 법적으로 외국기업이 자국에서 수출회사를 설립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결국 국내기업은 미얀마에서 원재료를 사서 국내에서 가공한 뒤 되파는 방식이 미얀마에서 수출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수출회사를 세우려면 회사의 경영권을 미얀마 현지인에게 맡기면서 위회적인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다.


추측할 수 없는 또 하나의 문제는 미얀마의 총선이 낳을 여파다. 군부가 총선에서 지더라도 힘은 완전히 잃지 않았다는 전망이다. 미얀마 내 정치적 이념 충돌이 지속된다면 진출기업의 경영 환경은 현재보다 악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미얀마비즈 관계자는 "현재 국내 기업은 미얀마의 진출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며 "정권교체가 이뤄지면 법, 제도가 바뀔 뿐만 아니라 이미 진출한 기업이 구축한 정부와의 네트워크도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