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박단비 기자]2009년 정부 차원에서 시범 도입해 수 천억원이 투입됐던 교과교실제가 실제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 제고에 별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상경아 박사는 25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교과교실 운영 효과'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상 박사는 이번 연구에서 2009년과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고등학교 성적자료와 학교 및 학생 설문자료를 활용해 교과교실제 운영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교과별 교과교실제 운영 여부에 따른 학업성취도, 교과에 대한 태도, 교사 풍토, 사교육 참여 정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즉 교과교실제가 학생들의 학업성취 제고에 별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상 박사는 "교과교실제 운영 학교들과 미운영 학교들의 학업성취도 등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며 "이는 교과교실제가 학생들의 학업성취 제고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과교실제는 각 교과목별 교사가 학급으로 이동해 학급의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학급교실제'와 달리 특성화된 각 교과별 교실에 학생들이 수업시간마다 이동해 수업을 듣는 학교 운영 방식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9년 시범 도입된 이후 빠른 속도로 확대·추진됐으며 2014년까지 1조2000여억원을 들여 모든 중·고교에 전면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권이 바뀌고 교과교실제 전면 도입의 폐단 등이 지적되는 데다 예산마저 부족하다는 의견 등이 제기되자 교육부는 예산을 대폭 축소하고 희망학교만 교과교실제를 지원하는 등 전면 도입을 유보한 상태다.


교육부 관계자는 "원래 모든 학교가 대상이었지만 여러 문제가 있고 예산도 충분하게 준비되지 않아 전면 확대 방침은 사실상 취소된 것"이라며 "앞으로는 사전에 여건이 허락되는 학교들을 중심으로 희망학교에 한해 지원을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