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PF 25조 만기, 건설사 부도 대란 오나

중견 건설사발 ‘PF문제’가 심상치 않다. 지난 2월 월드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할 때만 해도 기우로 치부해왔던 건설사 PF문제는, 진흥기업, LIG건설, 삼부토건에 이어 17년간 흑자경영을 해왔던 동양건설산업까지 줄줄이 워크아웃과 법정관리로 이어지면서 건설업계와 금융계의 태풍이 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상황이 끝이 아닌 시작이라는 점이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해에만 약 25조원의 PF가 만기를 맞는다. 벌써부터 ‘5~6월 PF 대란설’이 불거지는 이유다.

주택브랜드 '파라곤'으로 유명한 동양건설은 지난 15일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3일전 법정관리를 신청한 삼부토건과 함께 서울 헌인마을 도시개발사업과 관련한 PF대출이 문제였다. 갚아야할 전체 PF와 자산유동화기업어음은 4921억원 규모다.

이와같이 부동산 PF문제는 지난 2월 이후 지속적으로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지난해 정부가 16개의 건설사를 대상으로 구조조정을 확정할 때만 해도 2011년 건설사들의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었다. 부실 건설사에 대한 구조조정이 완료되면 경쟁에서 살아남은 업체들의 시장여건도 우호적으로 바뀔 것에 대한 기대감과 건설경기도 호전될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펼쳐지고 있는 상황 정반대다. 효성그룹의 자회사인 진흥기업, LIG그룹 소속의 LIG건설, 63년 전통의 삼부토건에 이어 동양건설산업까지 줄줄이 무너졌다.

문제는 앞으로다. ‘5~6월 대란설’이 고개를 들고 있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PF 대출은 은행권에서 15조원, 비은행권에서 10조원에 달한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PF대출 잔액의 약 40%에 달한다. 한기평에 따르면 36개 주요 건설사가 갚아야할 상반기 중으로 갚아야하는 PF만 13조8000억원에 달한다.  

이렇듯 건설사들의 자금 사정은 좋지 않은 반면 은행권들의 회수 의지는 여느때보다 강하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올해 총 3조5000억원의 대출 만기가 돌아오는 데 이가운데 1조5000억원은 회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전체 6조1000억원의 PF 대출이 남은 우리은행은 5~6월중에만 1조3000억원 만기가 돌아온다.

게다가 효성그룹, LIG그룹 등이 부실 계열사에 대한 자체적인 부활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꼬리 자르기'식의 법정관리 신청에 은행권 등은 신규대출 금지 등의 초강경대응이나 계열 건설사의 신용위험평가에 냉혹한 잣대를 천명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PF 대출의 만기가 상반기에 많이 몰려있고, 채권금융기관의 신용위험평가 기간이 겹쳐 있어 상당수의 건설사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은행권만의 문제가 아니다. 12조2000억원에 달하는 저축은행의 부동산 PF도 기다리고 있다.

저축은행의 PF 대출 만기는 특히 3분기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다. 솔로몬저축은행계열의 PF만기는 2분기 1000억원에서 1300억원으로 늘어난다. 현대스위스저축은행계열도 3분기에 1200억원의 만기가 도래한다. 저축은행들은 금융당국의 규정에 따라 오는 7월부터 여신에서 부동산 PF가 차지하는 비중을 25% 이하로 낮춰야 한다. 당연히 대출연장을 해주지 않으려 하는 분위기다.

벌써부터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금융권의 대출상환 압력이 건설사들을 옥죄고 있는 가운데 추가담보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삼부토건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10대 건설사도 자금난에 휩싸일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기업구조조진 촉진법의 부활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사정이 어려운 건설사들로 하여금 채권단과 회생방안을 논의하기 보다는 압다퉈 법정관리 신청에 나서게 하고 있는 반면 채권단은 건설사들이 법정관리를 들어가기전 어떻게든 대출금을 회수하려고 하면서 건설사들이 더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