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은배 기자]글로벌 경제둔화 우려의 한 축으로 중국경제가 거론된다. 중국의 경제둔화 가능성과 무역분쟁이 관련국들의 완화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미 '곪을 대로 곪았다' 는 평가를 받고있기 때문이다.


30일 한국은행의 해외경제포커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주요 기관들은 오는 2019년도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6.2~6.3%로 전망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각각 6.2%, 6.3%로 보고 있으며, 아시아개발은행(6.3%) 역시 6% 초반대를 예상하고 있다. 중국 사회과학원은 내년 6.3% 성장을 점치고 있다.


이는 금년 전망치(6.6%)를 하회하는 수치다. 작년 6.9% 대비 낙폭이 더 크다. 7% 미만 ‘중성장 시대’를 공식화한 2016년 이후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떨어졌다. 내년 5%대 급락의 현실화 가능성이 제기된다.


중국의 성장 둔화가 우려가 주목되는 것은 외부에서는 중국경제의 구조적 리스크가 파악이 제대로 안 되는 만큼 돌발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어서다. 제조업 설비, 부동산 재고, 기업부문 부채 등이 모두 과잉으로 추정되고 있다.


시장의 전문가들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중국의 구조적 위험'을 경계하고 있다. 특히 그 시기는 중국 스스로도 감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대해 한은 베이징사무소는 중국의 2019년도 경착륙 우려에 대해선 가능성을 높지 않게 보고 있다. 중국 정부가 확장적인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활용해 대응할 여지가 충분하다는 해석이다.


다만, 미국과의 무역분쟁이 심화할 경우 이러한 낙관론은 휴지조각이 될 수 있다. 일각에선 과잉 채무가 야기할 지방정부 부채 부실화와 채권시장 디폴트(채무 불이행) 증가가 현실화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한은은 중국 위안화 가치도 이같은 경기둔화 우려에 한동안 약세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보고있다. 위안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자본 유출 등의 문제가 번질 수 있다는 진단이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