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출처=뉴시스 그래픽 안지혜 기자)


[스페셜경제=윤성균 기자]최근 3기 신도시가 예정부지가 발표되면서, ‘제2의 판교’가 나올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4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2001년부터 추진한 제2기 신도시 사업부지 중 한 곳인 판교 신도시는 역대 정권에서 추진한 신도시 사업 중 가장 성공한 곳으로 평가받는다.


경기도 성남시 일원 8.9㎢ 부지에 주택 2만9300호를 공급해 강남권 주거난을 일부 해소한 것은 물론 자족 기능까지 갖췄다. 현재 판교테크노밸리에는 엔씨소프트, NHN 등 유명 IT기업을 포함해 1270개 기업이 둥지를 틀어 7만명의 일자리를 만들어냄으로써, 주택 공급에 그쳤던 1기 신도시에 비해 진일보한 모습을 보였다.


정부는 최근 3기 신도시 예정부지를 선정하면서, 서울 접근성 외에 ‘자족기능’을 강조한 것도 이 같은 판교 신도시 사례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개발계획이 발표된 후 예정부지의 ‘자족도시’ 성장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기업 유인을 위한 요소가 부족하다는 지적에서다.


정부는 남양주 ‘양숙지구’(1134만㎡)의 경우 예정부지 중 29만㎡를 도시첨단산업단지 개발에 활용하기로 했다. ‘하남 교산지구’(649만㎡)도 첨단산업융복합단지, 바이오웰빙특화단지 개발을 통해 기업 유치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지구’(335만㎡)는 약 60㎡ 부지를 도시첨단산단으로 중복지정해 기업 유치에 나서기로 했다. 과천도 자족용지 중 일부를 바이오산업, IT&데이터산업, 첨단R&D 등 산업부지로 활용할 예정이다.


하지만 용지만 확보했다고 해서 기업이 들어오는 것은 아니다. 판교의 경우 상업?업무 지원시설은 전체 부지의 약 2%인 1만5000㎡에 불과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단순히 택지지구내 2배 이상의 도시지원시설용지를 확보한다고 해서 판교신도시처럼 자족기능이 안착하고 자발적인 기업육성이 되진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도 “인천과 과천은 일부 자족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나머지 하남 교산, 남양주 왕숙지구는 산업용지가 32%밖에 되지 않아 부족한 편”이라며 “베드타운화될 가능성을 여전히 안고 있다”고 우려했다.


세금 및 임대료 인하 외에도 기업을 위한 다양한 행정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한 기업이 장기적으로 안착하려면 문화?교육?업무 집적 등 기업 친화적인 환경이 조성돼야 할 것이다.


지자체가 유치하겠다는 첨단산업군이 상당부분 겹쳐 지자체간 경쟁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남양주시는 왕숙지구에 스마트그리드 산업 중심의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정부통신기술,(ICT) 사업 등을 유치하겠다고 발표했는데, 하남 교산과 인천 계양 테크노벨리의 사업계획도 이와 유사하다. 또 하남 교산지구에 추진하는 바이오산업은 과천 지구와 중복된다.


아울러 정부는 3기 신도시를 선정하면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등 대중교통을 통한 서울 접근성을 최우선 사항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앞서 제2기 신도시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광역교통망 부족’을 중점적으로 고려한 결과다.


하지만 그러다 보니 서울과 가까우면서도 자족성을 확보한다는 서로 상충하는 논리로 귀결하게 됐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다 한 마리도 못 잡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대도시권내에서 중심과 주변부로, 위계가 나뉘듯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도 자족성이 낮은 곳이 있기 마련”이라며 “무작정 자족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은 맞지 않고, 바란다고 이뤄지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판교 신도시는 매우 특별한 케이스”라며 “모든 신도시가 판교 신도시가 될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