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은퇴가구 2곳 중 1곳은 노후 준비가 안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비가 부족하다는 가구도 60%에 달했다.


실제 은퇴를 하는 시점은 은퇴자들이 은퇴를 예상하는 시점보다 5년 정도 빨라, 더 일하고 싶어도 은퇴를 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일어나고 있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한국은행은 20일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공동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말 기준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는 80.0%로, 지냔해보다 0.4%p 증가했다.


가구주의 예상 은퇴 연령은 67.5세였으나, 실제 은퇴연령은 62.5세로 전년대비 0.4세 늘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은퇴 희망연령보다 5년 더 빠른 셈이다.


가구주와 배우자의 노후 준비는 전반적으로 안 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주가 은퇴를 한 가구 중 절반 이상은 노후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노후준비가 잘 돼 있지 않은 가구’는 35.7%로 전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전혀 준비 안 된 가구’라고 응답한 가구도 18.1%였다. 반면, ‘준비가 잘된 가구’라고 응답한 사람은 9.8%에 불과했다.


가구주와 배우자의 월평균 최소생활비는 197만원, 적정생활비는 283만원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은퇴가구의 59.5%는 생활비 부족을 호소했다.


생활비의 경우 가구주와 배우자의 생활비 충당 정도가 ‘부족한 가구’와 ‘매우 부족한 가구’는 각각 38.3%, 21.2%에 달했다. ‘여유가 있다’는 은퇴가구는 10.7%에 불과했지만, 지난해보다는 2.7%p 증가했다.


은퇴가구가 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은 ‘공적 수혜금’이 31.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공적연금’(30.3%), ‘가족수입 및 자녀 등의 용돈’(24.7%), ‘저축액·사적연금’(4.1%) 등의 순이었다.


은퇴가구들은 여전히 안정적으로 자산 운용하길 원했는데, 여유자금 운영 방법으로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45.8%)를 가장 많이 선호했다.


특히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방법은 ‘예금’이 91.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주식’은 4.7%, ‘개인연금’은 1.8%에 그쳤다.


은퇴가구는 대부분 ‘노후대책’(57.2%)을 위해 금융자산을 투자하고 있었다. 이어 ‘주택구입 및 전·원세 보증금 마련’(15.5%), ‘부채 상환’(9.6%), ‘자녀교육비 마련’(5.7%) 등의 목적이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