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노년기 삶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다. 과거 가족이 노인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인식이 최근 10년 사이에 절반 가까이 줄었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8’에 따르면, 노인 부모 부양을 가족이 해야 한다는 응답은 26.7%였다. 이는 10년 전인 2008년 40.7%를 기록한 것보다 14%p 낮아진 것이다.


반면, 노후를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답변은 10년 전 11.9%에서 19.4%로, 7.5%p 늘었다. 가족과 정부·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한다는 답변은 48.3%에 달했다.


거동이 불편해졌을 때 희망하는 거주형태는 ‘재가서비스를 받으면서 현재 집에 계속 머물고 싶다’는 응답이 57.6%로 가장 많았다. ‘노인요양시설 입소를 희망한다’는 답변도 31.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배우자 자녀 또는 형제자매와 함께 거주’라는 응답은 10.3%에 불과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경희 연구원은 “노년기 삶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다”며 “특히 부모와 자녀가 동거해야 한다는 규범이 약화되면서 공적 제도의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65세 이상 노년기 거주형태를 보면, 2008년 19.7%였던 노인독거가구는 지난해 23.6%로 증가했다. 반면, 자녀동거가구는 같은 기간 동안 27.6%에서 23.7%로 3.9%p 감소했다.


노인의 거주형태나 자녀 동거 규범이 약화되면서 재산상속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상속의 경우 인구 고령화와 의료서비스 확대 등으로 부양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인식변화가 더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상속 방법에 대한 태도를 보면 자신이나 배우자를 위해 써야 한다는 비중이 2008년 9.2%에서 2017년 17.3%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자녀 균등분배를 선호하는 노인은 59.5%에 달했으나, 장남에게 더 많이 줘야 한다는 의견은 9%에 불과했다.


아픈 노인 증가하면서 ‘공적 제도 필요성’ 높아져


최근 10년 사이에 노인부양에 공적 제도의 필요성이 더욱 커진 이유는 만성질환 노인이 급증하면서, 가정의 힘만으로는 노인을 돌보기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윤경 연구위원에 따르면 “만성질환자나 치매 진료자가 증가하면서 노인돌봄 수요가 높아졌다”며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 비율은 10년 전보다 4%p, 관련 인력은 3배 증가했다”고 발했다.


2017년 기준 3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은 제체 51%에 달한다. 이는 2008년보다 무려 20.3%p 늘어난 수치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노인 의료비는 본인이나 자녀가 부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비용부담이 크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주요 지출 항목별 노인부양 비용 분담을 살펴보면, 생활비의 43.6%와 의료비의 53.1%를 본인 또는 배우자가 전액 부담했다. 자녀가 전액 부담하는 경우는 생활비 13.6%, 의료비 9.7%였다. 사회복지기관의 부담률은 생활비 13.6%, 의료비 8.8%로 나타났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