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정부가 제로페이 BI(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발표하고 연내 시범 추진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지만, 성공여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제로페이는 서울시, 중소벤처기업부 등 정부가 은행, 민간 간편결제사업자들과 협력해 구축하는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로, 스마트폰 앱과 QR코드를 활용해 소비자가 소상공인 계좌이체로 결제하는 방식이다.


기존 신용카드 결제과정에서 소상공인들이 물어야 했던 카드사 수수료, 부가가치통신망(VAN) 수수료 등 중간 단계를 대폭 줄여 수수료를 최소화했으며, 시범서비스는 오는 17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서울시는 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제로페이 BI 발표회를 갖고, 서울시·부산시·경상남도 등 지방자치단체와 CU·GS25 등 26개 프랜차이즈 업체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소비자들은 전국 6만여 개의 가맹점에서 제로페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됐으며, 프렌차이즈 가맹점 입장에서는 그동안 고민이었던 결제 수수료 부담이 완화돼 영업이익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기부 홍종학 장관은 “소상공인 결제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한 제로페이가 BI 공개를 통해 첫발을 내디뎠다”며 “관계부처, 지자체, 업종단체와 협력해 빠른 시일 내에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제로페이 성공할까?…소비자 반응 ‘시큰둥’


정부의 긍정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업계에서는 제로페이의 성공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시선이 적지 않다.


이미 민간에서는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등 수많은 간편결제 서비스가 사용되고 있는데다가, 주요업체들이 연이어 불참을 선언하면서 경쟁력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현재 간편결제 업계에서 단연 두각을 나타내며 각각 가입자 약 2500만명, 1000만명을 보유하고 있는 카카오페이와 토스가 연이어 불참을 선언한 상황이다.


애초에 카드 수수료를 부담하지 않았던 소비자 입장에서도 제로페이를 이용할 이유가 사실상 없다.


QR코드 등을 이용한 간편결제가 상용화된 중국과 달리 한국은 신용카드 위주로 결제가 훨씬 익숙하다.


신용카드의 경우 할인과 포인트 적립 등 다양한 혜택을 주고 일정 한도 내에서는 계좌에 잔액이 없더라도 돈을 빌려주지만, 제로페이는 포인트 적립이나 후불 결제가 없다.


이에 정부는 제로페이 사용 시 소득 공제율을 40%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재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소득공제율은 각각 15%와 30%로 차이가 있음에도, 신용카드의 이용실적이 월등히 높아 소비자들을 소득공제율로 유인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체 지급카드 이용실적 중 신용카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79%인 반면, 체크카드의 비율은 21%에 불과했다.


계좌이체 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제로페이에 대한 시중 은행들의 불만도 적지 않다. 은행 간 계좌이체 수수료가 50~500원 정도지만, 은행들은 정부와의 협약을 통해 수수료를 받지 않거나 낮추기로 했다.


여기에 정부가 새로 만드는 플랫폼 설치비용 약 39억원과 매년 35억원의 운영비용 또한 사업에 참여하는 은행들이 부담하는 구조다보니 은행 입장에서는 이득이 거의 없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