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 한국의 중장년층 실업률이 외환위기 이후 17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을 넘어서면서 전체 실업률도 역전될 위기에 놓였다.


2일 통계청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한국 55~64세 중장년층 실업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4%p 오른 2.9%를 기록했다.


이는 같은 분기 2.7%를 기록했던 미국의 실업률보다 높은 수치로, 한국의 중장년층 실업률이 미국보다 높아진 것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9년 3분기부터 2001년 1분기 이후 17년여 만에 처음이다.


과거 2011년~2012년까지만 해도 한국의 중장년층 실업률은 미국보다 3~4%p가량 낮았지만 이후 격차가 꾸준히 좁혀지면서, 실업률 역전 현상은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이어지고 있다.


올해 3분기 한국의 중장년층 실업률은 1년 전보다 0.5%p 오른 3%인 반면, 미국은 1년 전보다 0.3%p 하락한 2.9%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여성·노인의 경제활동이 활발하고 노동시장 규모가 큰 선진국이 개발도상국보다 중장년층 실업률이 높은 점을 고려하면 이런 역전현상은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국의 실업률은 청년층(15~24세)에 이어 중장년까지 미국을 추월하면서, 전체 실업률도 역전될 위기에 높여있다. 3분기 기준 한국의 실업률은 3.8%로, 미국(3.9%)과는 0.1%p 차이에 불과하다.


앞서 한국 청년층의 실업률은 이미 지난해 1분기에 미국을 추월했으며, 7분기동안 악화되면서 미국과 격차를 키우고 있다.


경기부진과 고령화가 ‘원인’


최근 이어지고 있는 중장년층 고용한파는 경기 부진으로 인한 고용난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올해에는 조선·자동차 등 국내 주력산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경기 부진과 높아진 최저임금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다.


올해 1분기 월평균 취업자 수 증가 폭은 18만명으로 떨어진 데 이어 2분기 10만1000명, 3분기 1만7000명까지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월평균 취업자 수가 31만6000명 늘어난 것과 크게 대비된다.


고령화의 영향으로 경제활동 의지가 있는 중장년층이 늘어난 점도 실업률을 높이는 또 하나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일반적으로 일을 찾으려고 하는 경제활동인구가 빠른 속도로 늘면 실업자가 덩달아 증가하면서 실업률이 오르곤 한다.


전체 경제활동인구에서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13% 내외에서 올해 3분기 16.5%까지 올랐다.


통계청 관계자는 "중장년층 실업률 상승은 경기 영향도 있지만,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난 영향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