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현주 기자]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지에 대해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돼 제재를 받을 경우 한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1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경우 한국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중국의 미국 수출이 어려워질 경우 중국 경제가 침체되면서 수요가 줄어 한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무역 분쟁이 더 치열해져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 중국경제에 부담이 될 것"이라며 "중국 성장률이 하락해 수요가 감소한다면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한국에도 부정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또한 "이번 환율보고서는 미·중 무역분쟁이 긴장되고 고조되는 일련의 사건 중 하나"라며 "환율조작국 지정여부가 단기적으로 엄청난 이벤트로 작용하지는 않을지라도 무역전쟁은 장기적으로 이어지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10일(현지 시간) 스티브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중국 위안화 하락세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현재 미국은 조만간 나올 예정인 환율 보고서에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월 미 재무부는 종합무역법 내용을 포함한 환율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중국을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한 바 있다.


종합무역법에 따르면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국 ▲유의미한 대미 무역수지 흑자국 등 두 가지 요건 중 한 가지 요건만 갖춰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수 있다. 현재 중국은 대미 무역흑자 200억 달러 이상으로 알려져 이미 요건 하나를 충족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현재 중국은 시장상황 상 위안화가 꽤 많이 절하됐고 대미 무역흑자도 사상최대인 상황으로 환율조작국에 지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지 않을 가능성과 지정될 가능성은 55 대 45 정도로 본다"며 "미국이 선거 한달 전인 상황에 중국이 관세 등으로 반격할 경우 타격이 클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현재 중국 측은 인위적으로 환율을 조정하지 않았다고 반발하고 있다. 9일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위안화 가치 하락으로 수출을 늘리려는 의도가 없으며 환율을 무역갈등의 수단으로 간주하지도 않는다”고 말하며 미국 측이 인위적인 위안화 절하 의혹을 제기하는 것에 대해 “근거 없는 추측”이라고 일축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