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정의윤 인턴기자]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증권투자가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외환부문의 구조변화’를 보면 국내 금융사의 해외증권투자 잔액 규모는 2008년 말 540억 달러에서 지난해 말 2414억 달러로 몸집을 불렸다.


정부가 해외투자 규제를 완화한 것이 이 같은 증가세에 힘을 보탰다. 해외투자 활성화 추진 방침을 시사한 정부는 2016년에 해외주식투자 전용펀드에 세제혜택을 부여했고 지난해 6월부터는 보험사의 외환자산 환헤지 관련 규제를 개선했다.


이런 규제 완화 기조로 해외증권투자가 대폭 증가하면서 우리나라는 2014년부터 대외순채권국이 됐다. 대외금융자산이 대외금융부채를 초과하면서, 우리나라가 해외에 빌려준 돈(대외채권)이 해외에 갚아야 할 돈(대외채무)보다 많아진 것이다. 대외순채권국이라는 지위는 우리나라의 대외신인도를 높여주기도 한다.


해외에 빌려준 돈 중 해외증권투자액의 비중은 2008년 말 22%에서 2017년 말 40%로 대폭 확대됐다. 결국 해외증권투자액이 늘어난 것이 우리나라가 대외순채권국이 되는 데에 크게 기여한 셈이다.


해외에 갚아야할 돈 중 외국인의 국내증권 투자비중도 2008년 말 42%에서 2017년 말 64%로 크게 늘었다.


그런데 금융당국은 이렇듯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증권투자와 외국인의 국내증권투자가 모두 늘어난 데 대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 두 가지 부문의 증가는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이전보다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에 취약한 체질로 변화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금감원 관계자는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시 금융회사의 해외투자증권의 손실이 발생하고 외국인의 증권투자자금 유출 위험은 증가한다”며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투자 리스크 분석 및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유출입 동향 모니터링 등 잠재리스크 요인에 대한 점검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