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문제로 국제 유가가 치솟으면서 미국 정부가 긴급상황에 대처하고자 전략비축유(SPR)를 방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스페셜경제=이현주 기자]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미국 정부가 전시 등 긴급 상황에 대처하려고 비축한 전략비축유(SPR) 방출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국제유가가 급격히 뛴 배경엔 트럼프 행정부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이란 핵협정을 탈퇴하면서 이란 압박을 강화함을 보여주기 위한 계획으로, 전 세계에 이란산 원유 수입을 전면 중단할 것을 요구했고 이는 곧바로 유가 상승으로 이어진 것이다.


1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정부와 서방국들이 향후 유가의 추가 상승에 대비해 현재 비축석유 방출 문제를 놓고 활발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국제 유가가 지금 수준에서 10% 이상 오를 경우 비축유 방출에 나설 것으로 관측했다.


다만 일부 소식통은 전략적 비축유의 방출이 임박한 징후는 아직 없다고 설명했다.


통상적으로 비축유를 푸는 것은 극히 드문 일로 통상적으로 비축유 방출은 최후 수단으로 여겨 왔기 때문이다.


미국은 1973년 아랍의 석유수출 중단 조치에 대비, 1차 석유파동이 일어난 것을 계기로 전략비축유 제도를 도입했다.


현지 비축된 원유는 660억 배럴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3차례에 걸쳐 비축유를 긴급히 방출 한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1991년 걸프전 발발과 2015년 초대형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한 멕시코만 유전의 생산 중단, 2011년 리비아의 생산 차질 때문에 시행한 것이다.


이처럼 미국 정부가 전략비축유 방출을 검토 중인 것은 이란 핵 합의 파기로 이란 원유 금수 조치가 다시 시작되면서 국제유가가 최근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OPEC 14개 회원국과 러시아 등 10개 비(非) OPEC 산유국들은 지난달 오스트리아 빈에서 회의를 열고 원유 생산량을 하루에 100만배럴 증산하는 방안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실제 이들 산유국의 증산 여력이 하루 60만 배럴 수준에 그쳐 이란산 원유 수출이 위협받게 되면서 생길 공백을 채우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도 나왔다.


[사진제공=뉴시스]


키워드

#WSJ #비축유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