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현대자동차그룹이 지분투자 의향을 밝히면서 광주시가 추진해온 자동차 공장 설립이 가시화된 가운데, 이를 두고 현대차 노동조합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난관에 봉착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4일 현대차 관계자들은 광주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서 현장 실사를 진행했다. 빛그린사업단지는 올해 안에 완성차 공장 착공식을 갖고 오는 2020년 완공해 연간 10만대가량의 자동차를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해당 사업의 경우 문재인 정부가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한 ‘광주형 일자리’에 부합하는 모델이라는 점에서 현대차의 결정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광주형의 일자리의 경우 노·사·민·정이 모두 참여해 적정한 임금을 책정해 기업에 많은 이윤을 보장하고, 지역 일자리를 늘리는 게 목적이다.


따라서 광주시는 오는 2020~2021년까지 현재 완성차 정규직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 절반 수준인 약 4000만원으로 현대차의 차량을 위탁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연간 생산 규모는 약 10만대로 직·간접 고용 효과가 1만 2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 역시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발목을 잡는 것은 현대차 노조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가 정규직의 임금 수준을 하향 평준화시키는 것이라며 사측에 철회를 요구하고 나선 상황이다. 그러면서 올해 임금협상과 연계해 투장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와 관련해서 하부영 전국금속노조 현대자동차부장은 “2015년부터 추진하다가 중단된 광주형일자리를 문재인 정부에서 다시 살리려 하는 것은 최저임금 삭감의 연장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대차의 광주형 일자리 지분투자 결정은 최근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 개선과 경영권 승계 실패, 경영 위기라는 곤궁한 처지를 타개하기 위한 정부의 압박에 굴복한 정치적 결정”이라고 덧붙였다.


더욱이 현대차 노사 단체협약 조항에 따르면 생산 일부를 외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노사공동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제약을 피하기 위해서는 현재 생산하지 않는 차종을 생산하도록 돼 있다.


이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광주시 완성차 공장에서 배기량 10000cc 미만의 경찰를 생산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지난 2002년 아토스 단종 이후 경차를 생산하지 않고 있기에, 차종은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형태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렇다보니 일각에서는 현대차가 ‘광주형 일자리’에 참여하기가 요원할 것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