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현주 인턴기자]이탈리아가 정치적으로 불안을 겪으며 ‘이탈렉시트’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연초 금리인상을 염두에 두고 있던 유럽중앙은행(ECB)이 딜레마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이탈리아 정국 혼란에 따른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유럽중앙은행(ECB)이 통화정책 방향 설정에 난항을 겪고 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ECB는 올해 중 2조4천억 유로(약 3018조원) 규모의 양적 완화(QE)를 중단하고 금리 인상에 시동을 걸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됐다. 그러나 유로존 경제가 점차 둔화 양상을 보이는데다 ‘이탈리아 리스크’까지 더해져 ECB의 출구전략이 예정대로 진행되기 어려워졌다.


실제로 최근 이탈리아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한달 만에 100bp(1bp=0.01%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이탈리아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투자자들이 시장에서 채권을 매각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노무라증권 요아니스 소코스 이코노미스트는 "ECB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신중하게 통화정책 경로를 만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며 "내년 9월에야 첫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ECB의 이탈리아에 대한 자금 지원 여부에 대해서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앞서 ECB는 그리스,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회원국 채권을 직접 매입해 양적완화(QE) 정책과 제로 금리를 병행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ECB는 양적완화(QE)가 시작된 이후 이탈리아 채권 3410억 유로를 매입하고 현재도 매달 4억 유로에 달하는 채권을 매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ECB 내 일부 매파 의원은 내달 14일 통화정책회의에서 정확한 QE 종료 시점을 발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파이낸셜타임스(FT)>는 ECB 내 매파 의원들은 이탈리아의 정국 혼란으로 인한 국채금리 상승은 ECB가 개입할 일이 아니기 때문에 유가 상승, 독일 물가 지표 등을 근거로 출구 전략을 짜야 한다고 언급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다소 우려하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ING 카스텐 브제스키 이코노미스트는 "지금 바로 QE 중단을 선언하는 것은 ECB가 이탈리아에 총격을 가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이탈리아에게는 ECB가 최소한 12월까지는 양적완화 중단을 연기하는 비둘기파적 해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