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 남북?미북?북중 대화 ‘막후’ 지휘(?)


[스페셜경제=박고은 기자]‘세기의 핵담판’이라 불리는 미북 정상회담이 마지막 단계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남북?미북?북중 대화 등 대외 정책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북한 김영철 노동당 대남담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미북 정상회담이 성사되기까지 막전막후에서 외교전을 벌인 미국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고위급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미북은 정상회담 의제 등을 논의하기 위해 판문점에서 실무협상을 벌이고 있다. 30일 미북 측은 비핵화 로드맵과 체제보장 방안에 대해 최종 조율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김 부위원장과 폼페이오 장관이 고위급회담을 통해 조율된 안에 대한 최종 담판을 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나아가 회담 분위기에 따라 김 부위원장이 특사 자격으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예방해 친서를 전달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최측근인 김 부위원장을 통해 김 위원장의 의중을 파악, 확실하고 실질적인 회담이 될 수 있도록 최종적으로 확약을 주고 받을 실현성이 있어 보인다.


트럼프, 미북정상회담 빅이벤트 ‘시선집중’ 예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시각 29일 트위터를 통해 “김 부위원장이 지금 뉴욕으로 향하고 있다”고 미북 고위급회담 개최를 공식화 했다.


같은 날 백악관 세라 허커비 샌더스 대변인도 “김 위원장이 뉴욕을 방문, 폼페이오 장관과 이번주 후반에 회담한다”고 밝혔다.


이날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도 정례브리핑을 통해 “폼페이오 장관이 30일 뉴욕으로 출발, 31일 워싱턴DC로 돌아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혀 뉴욕에서 1박 2일의 미북 고위급회담이 진행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김 부위원장은 지난 29일 북한 고려항공 JS151편으로 경유지인 베이징 서우두(首都) 국제공항 2청사에 도착한 모습도 포착됐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오후 1시 뉴욕행 중국 국제항공 CA981편에 탑승 했다.


이는 지난 2000년 조명록 당시 북한 국방위 제1부위원장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특사로 방미한 이후 18년 만의 최고위급 인사 방문이다.


특히 미국의 제재 대상인 김 부위원장의 입국을 허용했다는 점에서 미국의 적극적 의지가 읽힌다.


폼페이오-김영철, 무슨 얘기 나눌까



김 부위원장과 폼페이오 장관과의 만남에서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CVID)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안전보장(CVIG)이 맞교환하는 빅딜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24일 상원 외교위원회의 국무부 새해 예산 심의 당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CVID)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안전보장(CVIG)을 제공하는 방안을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면담에서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벤 카딘(민주·메릴랜드) 상원의원이 ‘북미 합의가 이뤄지면 상원에 조약으로 제출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며 “지금은 초기 단계지만, 우리가 성공하면 그렇게 하는 게 적절한 일”이라고 답했다.


미국이 북한의 비핵화와 체제안전을 조약 형태로 의회에 제출해 의회 동의를 받는 다는 것은 정권 교체에도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합의 사항을 미국이 지속해서 추진할 수 있어 이란 핵 협정을 파기하면서 생겨난 북한의 의구심을 불식 시킬 수 있게 됐다.


이란 핵 협정을 맺을 당시 의회의 동의를 받지 않은 행정부 차원의 합의였다.


나아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시각 27일 트위터를 통해 “우리 미국 팀이 나와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해 북한에 도착했다”면서 “나는 진실로 북한이 잠재력 있고 언제가는 경제?재정적으로 위대한 나라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라고 경제적 보상에 대한 의지를 시사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도 나에게 동의한다”며 “그것은 일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미북 정상회담을 위한 실무접촉 사실과 비핵화와 경제적 보상을 언급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 25일 북한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이 “‘트럼프방식’이라고 하는 것이 쌍방의 우려를 다 같이 해소하고 우리의 요구조건에도 부합되며 문제해결의 실질적작용을 하는 현명한 방안이 되기를 은근히 기대하기도 했다”고 말했던 것을 복기해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도 나에게 동의한다’고 밝힌 것은 비핵화 방식에 있어 미북이 어느 정도 접점을 좁혀 나갔다는 것을 시사한 것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트럼프 방식은 속전속결 이행을 전제로 한 일괄타결 해법이다.


트럼프-김영철, 만날 가능성은?



가장 주목되는 건 트럼프 대통령과 김 부위원장의 만남일 것이다.


눈 여겨 볼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 부위원장이 지금 뉴욕으로 향하고 있다’고 트위터를 통해 공식화 하고 “내 편지에 대한 확실한 답변, 고맙다”고 말하기도 한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4일 미북 정상회담을 취소하면서 김 위원장에게 “정상회담을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마음을 바꾼다면, 주저 말고 연락하거나 편지를 보내 달라”고 대화의 문을 완전히 닫지 않는 모습을 보인 바 있다.


이를 미루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답변을 친서를 통해 전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나아가 뉴욕 회담에서 대미를 장식하게 되면 그 결과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친서 전달 가능성이 제기 되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이 뉴욕 회담의 성공 가늠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영철, 남북?미북?북중 대화 ‘막후’ 지휘(?)



한편 김 부위원장은 군 출신으로 1990년대 초 고위급회담 대표로 참석, 남북기본합의서와 한반도 비핵화공동선언을 작업에 참여할 정도로 협상에 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위원장은 지난 2월 평창 겨울올림픽 폐막식 당시 북한 대표단장으로 참가했으며 남북 정상회담 전에 열렸던 북중 정상회담에서도 김 부위원장이 배석하기도 했다.


특히 북중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이 스위스 베른에서 조기 유학 시절 후견인을 맡았던 스위스 대사 출신이자 4차 핵실험 직후인 2016년 5월 중국을 방문, 시진핑 국가주석을 접견했던 이수용 당 국제부장과 1994년 제네바합의 과정에 참여하고 외무성 내 핵·군축담당 부국장을 역임한 대미외교의 베테랑 이용호 외무상보다 앞자리에 앉았었다.


심지어 지난 9일 김 위원장과 폼페이오 장관의 접견 자리에서도 정부 간 외교를 담당하고 대미외교 베테랑인 이 외무상을 제치고 혼자 배석하기도 했다.


또한 27일 남북 정상회담에서도 김 위원장 오른편 자리에 앉았고 이번에도 미국을 방문 트럼프 대통령을 접견할 가능성도 나오면서 남북?미북?북중 대화를 기획?협상에서 담당자가 아니었는가 하는 분석도 나온다.


[사진출처=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