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현주 인턴기자]미국 경기가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미국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커지면서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가운데 일각에서는 ‘가계부채 리스크’로 인해 국내 금리 인상 시기가 예상보다 늦춰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월말 기준 가계부채가 1500조원을 초과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기준 가계부채가 1451조원으로 집계된 것에 비해 두달간 무려 50조원 가량 증가한 것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2014년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높은 증가세를 이어왔다. 최근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짐에 따라 지난해 정부의 주택시장 및 가계부채 대책 등으로 인해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가계부채는 장기적으로 가계의 소비여력을 줄여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계의 상환능력이 낮아질 경우 금융기관마저 부실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간 증가세가 누적되면서 가계부채 총량은 이미 높은 수준에이며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고 해도 소득의 증가속도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난해 말 기준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비율은 159.8%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가계부채가 축적돼 있는 상황에서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 등의 영향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할 경우 가계의 이자부담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다중채무자면서 저소득 또는 저신용인 취약차주의 부채규모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향후 금리 상승 시 이들을 중심으로 채무상환의 어려움이 커질 것”으로 진단했다.


실제로 현재 취약차주의 연소득 대비 이자 상환액이 다른 차주에 비해 높아 취약계층에서 금리 상승에 따른 상환부담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금융업계에서는 미연준이 올해 4번 이상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3월 개인소비자지출(PCE) 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연준 목표치를 돌파했기 때문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물가상승률이 2%를 웃돌 경우 성장이 급하게 진행돼 과도한 물가상승 등 거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금리인상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