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재계가 ‘납북 정상회담’에 따른 경제협력으로 대북특수를 기대하면서도, 선결사안들이 많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우선적으로 대북사업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엔의 대북제재 해소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보고있다.


재계에 따르면 27일 오전부터 진행된 제3차 남북 정상회담과 6월 초로 예상된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남북경제교류 개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더욱이 한반도 해빙무드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해소만으로도 기대감을 갖기에 충분하다고 보고있다.


특히 국내 기업들은 남북경제협력 관련해 대북사업을 추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한 달 동안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전경련 회원사, 개성공단 입주기업 등 200여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기업의 82.5%가 향후 남북관계에 대해서 희망적으로 답했다.


또한 장기적으로 북한에 투자를 하거나 진출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 기업들 절반 이상인 51%가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에 반해 투자나 진출 의향이 없다고 답변한 기업은 24.5%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렇게 답변한 이유는 정치경제 불안정(57.1%)으로 인해 북한과의 사업이 이르다고 본 것이다.


아울러 남북경제관계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채과제로 ‘과거와 같은 경협중단 사태 재발 방지, 투자보장 등의 불확실성 제거’(43.9%)와 ‘정권변동과 관계없는 일관성 있는 대북정책 추진’(26.3%) 등을 가장 우선적으로 꼽았다. 한편, 이번 남북정상회담에는 유엔 대북제재로 인해서 경제협력 의제는 제외된 상태다. 따라서 정상회담 수행단에 경제부처 장관이나 재계 인사도 배제된 상태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