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현주 인턴기자]금융감독원이 금융 계열사를 보유한 그룹들에 실효성 있는 위험통제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5일 금융감독원은 ‘금융그룹 통합감독 관련 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간담회에는 유광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과 삼성, 미래에셋, 교보생명, 롯데, 한화, 현대차, DB 등 7개 주요 금융그룹 임원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오는 7월 ‘금융그룹 통합감독 모범규준’ 시행을 앞두고 주요 금융그룹에게 금융그룹 통합감독 정착을 위한 대표회사 및 소속회사의 역할과 책임 등 금융그룹 통합위험관리체계 거버넌스(Governance)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주요 감독대상으로 그룹리스크의 주요 유형을 소개하며 통합감독은 기존의 금융업법, 공정거래법 등에서 규율하기 어려운 금융그룹 차원의 리스크를 관리·감독하기 위함을 강조했다.


유광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은 “통합위험관리체계 조기구축을 위해 이를 전담할 충분한 조직과 인력을 확충해 오늘 7월부터 통합위험관리체계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금융그룹은 사전에 그룹리스크 해소와 관련한 준비가 필요하며 하반기 중 금융그룹을 대상으로 모범규준 이행상황 등 현장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대주주 적격성심사 대상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금융그룹이 속한 기업집단 내 계열회사의 지배구조 리스크가 금융그룹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유의해 줄 것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금감원은 이날 통합감독 대상 금융그룹 소속 금융 계열사의 위험 거래 사례도 공개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감원은 지난해 미래에셋대우와 네이버의 자사주 교환에 대해 "자사주 처분 제한으로 금융그룹의 지급 여력을 제약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삼성중공업이 자금 마련을 위해 실시한 유상증자 때 삼성생명이 새 주식의 상당 부분을 인수한 것과 관련, 금감원은 "경영이 악화될 경우 금융 계열사로 부실이 전이되고 금융그룹 건전성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다.


미래에셋과 삼성에 대한 언급이 많이 나오자 이날 일각에서는 “금융 당국이 사실상 미래에셋과 삼성을 겨냥한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특정 금융그룹의 지배구조를 지적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라며 부인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