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네이버


[스페셜경제=김지혜 기자]국내 최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가 매크로 댓글 조작 논란 등으로 한차례 곤혹을 치렀던 것에 이어 최근 불거진 ‘드루킹 사태’로 인해서 다시 한 번 도마 위에 올랐다. 이로 인해서 네이버의 포털 댓글 정책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네이버 역시 관련 대책을 세우느라 고군분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포털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댓글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아이디 1개당 댓글 작성 가능 개수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행 하루 20개에서 더 줄이려는 조치다.


이 외에도 네이버는 현재 뉴스 댓글 노출 순서를 ‘순공감순’에서 ‘최신순’으로 변경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이상 징후가 포착되면 추가 인증을 받게 하는 등의 대책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지난달 출범한 ‘댓글정책이용자패널’을 통해 협의를 거친 뒤 이르면 오늘 오후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네이버 댓글.


네이버, ‘인링크 정책’만은 고수하나?


하지만 네이버는 이번 사건의 근본적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네이버 뉴스의 ‘인링크’ 정책만큼은 계속 고수할 것으로 점쳐진다.


네이버는 인링크 정책으로 포털의 영향력을 무서울 만큼 키워왔다. 인링크 방식은 이용자가 뉴스를 클릭하면 해당 뉴스의 언론사 홈페이지로 이동하지 않고 포털에 머무른 채 뉴스를 보게 되는 시스템을 뜻한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이 뉴스를 이용하는 비중은 포털을 통해서가 77%에 달했고 언론사를 통해서는 4%에 불과했다.


인링크 방식은 대다수 이용자가 한 곳에 몰리기에 매크로를 이용한 댓글 조작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불법프로그램을 사용해 ‘좋아요’와 같은 공감 시스템을 조작하면 민주적인 정치의사결정이 왜곡될 소지가 높다.


이 때문에 포털사이트가 기사를 제공할 때 ‘언론사 홈페이지’를 통하도록 하는 ‘아웃링크’방식 도입 논의가 확산되는 중이다. 구글과 중국 1위 포털 바이두가 뉴스를 공급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하지만 네이버는 이러한 논란이 터진 지금도 아웃링크 방식보다는 인링크 방식을 고집하고 있다. 현재 네이버는 뉴스와 댓글 사이사이에 게재되는 광고는 ‘CPM’ 방식으로, 노출수가 많아질수록 단가가 높아진다. 즉, 이용자가 포털에 오래 머무르면 머무를수록 네이버에게 돌아가는 이익이 더 커지는 구조인 것이다.


이에 ‘공룡’ 네이버를 규제해야한다는 목소리가 국회에서도 나오고 있다. 야(野) 3당은 포털과 여론조사 제도 개선을 위한 공동 입법 작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중 포털 안에서 기사를 제공하고 댓글을 달도록 한 현재 인링크 방식을 폐지하고 아웃링크 방식을 채택하는 방안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성중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4일 인링크 뉴스 공급을 차단하는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사진제공=네이버]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