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글로벌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가 흥행을 거듭하고 있는 것에 반해서 네이버와 다음 양대 포털이 운영하고 있는 동영상 서비스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유튜브는 올해 2월 총 사용시간 287억분을 기록하면서 네이버와 카카오를 가뿐이 제쳤다.


앱분석업체인 와이즈앱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유튜브는 지난해 3월에 79억분에 불과했다. 하지만 2년간 3배 이상 성장하면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 유튜브 측은 재능있는 창작자들의 성장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밝혔다.


이는 실체 수치로도 증명된 사실이다. 유튜브에 의하면 지난해 기준 구독자 수를 10만명을 졸파한 채널은 601개, 100만을 돌파한 채널 역시도 39개로 증가했다. 또한 1000만명이 구독하는 채널도 3개로 탄생하면서 기염을 토하게 했다.


다양한 유튜브 채널이 만들어지면서 자연적으로 시청자들이 몰리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국내 10~20대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검색도 유튜브를 통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에 요리, 게임, 뷰티 등 다양한 영상이 올라오면서 이를 통해서 정보를 습득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국내 포털업계의 시름은 나날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네이버의 ‘네이버TV’나 카카오의 ‘카카오TV’의 존재감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동영상 서비스 시장에서 유튜브 점유율이 80%가 넘어가면서 비교 자체가 의미가 없어진 상황인 것이다.


이에 포털업계도 다양한 대응채를 내놓고 있다. 특히 유튜브를 따라잡을 수 있을 만큼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하고 이용자 늘리기 위한 창작자 모시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네이버의 경우는 웹예능, 드라마, 키즈, 뷰티, 푸드 등에서 창작자와 중소 제작사에 대한 지원책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위해 네이버는 지난 2016년 9월부터 3년간 웹드라마, 웹예능, 게임, 키즈, 뷰티 5개 동영상 콘텐츠 분야에 15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지원 규모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카카오 역시 창작자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지원책을 내놓았다. 카카오 TV는 수익 관리 플랫폼인 ‘비즈 스테이션’을 통해서 창작자들이 직접 자신의 동영상과 라이브 방송에 간편하게 광고를 적용하거나 후원받기를 설정하고 수입 및 정산 내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아울러 카카오TV는 이용자가 동영상 채널을 플러스로 추가하면 간편하게 해당 채널의 라이브 방송과 업데이트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