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북 압박 ‘고삐’ 바짝 조여…與, ‘포스트 평창’ 구상 불붙이나


[스페셜경제=박고은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남북대화가 북미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중재에 집중하고 있지만 북미관계의 현실적인 허들이 높아 보인다.


올림픽을 맞아 극적으로 만들어진 평화 분위기를 이어가기 위해 문 대통령은 지난 26일 류옌둥 부총리를 접견한 자리에서 “미국은 대화의 문턱을 낮출 필요가 있고, 북한도 비핵화 의지를 보여야 한다”며 “미국과 북한이 빨리 마주 앉는게 중요하다”라고 미국 정부에게 북미대화를 주문했다.


하지만 미국시각 26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은 대화를 원하고 있겠지만 우리는 오직 적절한 조건 아래에서만 대화하길 바란다”며 “그렇지 않으면 대화는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즉 비핵화를 전제하지 않는 북미대화는 없을 것이라는 의지를 재확인 한 것이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주지사들과의 연례 회동을 통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 그러나 어떤 일인가는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물론 현재 북한은 북미대화를 바라는 등 전향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지난 25일 문 대통령과 김영철 북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과의 접견 자리에서 김영철 부위원장은 “북미대화를 할 충분한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대화를 구걸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태도를 고수한 북한이 평창올림픽 개막식에 파견한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으로 하여금 ‘남북 대화’의 물꼬를 트더니 폐막식에 참석한 김영철 부위원장이 ‘북미 대화’의 빗장까지 푸는 모습을 보여줬다.


때문에 이같은 미국의 강경한 태도를 두고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온다.


美, 北 전향적 태도에도 대북 압박 ‘고삐’ 바짝 조여



먼저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역대 정부를 언급하면서 “그들은 25년 동안 대화를 해왔지만 아무런 일도 생기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클린턴 행정부, 부시 행정부, 오바마 행정부에서 이뤄졌던 대북정책을 비판하며 대북 강경책을 강조했다.


이는 과거 정부에서의 대북 유화 정책으로 핵개발을 방치했다는 점을 부각, 역대 정부와 차별적인 대북 강경책을 통해 근본적 해결을 도모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국 내 보수 표를 결집, 재선을 노리겠다는 의지로 분석되고 있다.


또 하나는 미국의 강경한 대북정책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미국은 일관되게 강경한 대북정책을 통해 북한을 압박하면서도 ‘비핵화’를 전제로 한 대화의 문은 열어 두고 있다.


비핵화라는 조건 없이 한발짝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강경한 의지를 보이면서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유도하는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이에 평창동계올림픽을 방문한 미국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고문 겸 보좌관이 북한 고위급 인사들과의 만남을 회피한 것도 앞으로도 강경한 대북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는 메시지로 읽혀진다.


때문에 남북정상회담을 매개체로 북미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환경 조성을 문 대통령이 어떤 방식으로 이끌어 낼 것인지 주목된다.


與, ‘대북?대미특사’ 언급…‘포스트 평창’ 구상 불붙이나



현재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남북 대화의 진전과 북미 대화의 성사를 위해 대북특사, 대미특사를 언급하는 등 포스트 평창 구상을 제안한 바 있다.


우원식 원내대표는 지난 26일 국회 본청 당대표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김여정 부부장과 대남사업을 총괄하는 김영철 부위원장이 방한해 북한의 ‘남북관계 개선’, ‘북미대화’ 의지를 내세우는 점을 내세우는 점을 북한의 긍정적 시그널로 판단하며 “평창이 열어 놓은 남북 간 대화와 교류, 한반도 긴장완화의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어가는 ‘포스트 평창시대’를 굳건히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출처=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